본문 바로가기
세상이모저모

2025년 5월 17일 기준 대선 후보 상황: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등 주요 후보 동향 정리

by 지적인닥나무 2025. 5. 17.

    [ 목차 ]

 

2025년 5월 17일 밤 11시 기준, 제21대 대통령 선거(6월 3일 예정)를 앞두고 후보자들의 선거운동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주요 후보들의 유세와 정책 발표가 이어지는 가운데, 여론조사 결과와 정당 내 갈등 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 대선 D-17, 후보자별 핵심 이슈 요약

후보자 주요 이슈 및 동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광주 유세에서 '80년 5월 광주가 오늘 대한민국 구했다'며 호남 지지층 결집 시도. 여론조사에서 51% 지지율로 선두 유지.
김문수 (국민의힘) 당내 갈등으로 후보직 박탈 수순, 선거운동 일정 중단 선언. 여론조사에서 29% 지지율로 이재명 후보에 뒤처짐.
이준석 (개혁신당) '힘 빼는 대통령' 슬로건으로 권한 분산 및 정부 조직 개편 강조. 세대교체와 정치 개혁을 주요 공약으로 제시.
권영국 (민주노동당) '차별 없는 대한민국' 슬로건, 증세 통한 사회 불평등 해소 공약. 인권변호사 출신으로 노동·시민사회 활동 경력 강조.
구주와 (자유통일당) '반국가 세력 척결' 슬로건, 국가 안보 강화 최우선 과제. 보수 성향 법률대리인으로 활동한 경력 강조.
황교안 (무소속) '부정선거 척결' 슬로건, 공정한 선거 시스템 구축 강조. 박근혜 정부 시절 법무부 장관과 국무총리, 대통령 권한대행 역임.
송진호 (무소속) '동북아 디지털 금융허브' 비전, 가상자산 피해자 구제 공약. 글로벌데이터자산공제회 이사장으로 활동.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다음뉴스 대선 특집

YTN 대선 뉴스

KBS 대선 뉴스

🧠 후보별 정책 및 공약 분석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진짜 대한민국'을 슬로건으로 내세우며, 민생 회복과 공정사회 실현을 약속하고 있습니다. 광주 유세에서는 '80년 5월 광주가 오늘 대한민국 구했다'며 호남 지지층 결집을 시도했습니다. 여론조사에서 51%의 지지율로 선두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김문수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경제 대통령'을 자처하며,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과 일자리 창출을 핵심 공약으로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당내 갈등으로 후보직 박탈 수순에 놓이며 선거운동 일정을 중단했습니다. 여론조사에서 29%의 지지율로 이재명 후보에 뒤처지고 있습니다.

이준석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힘 빼는 대통령'을 슬로건으로, 대통령 권한 축소와 정부 조직 개편을 주요 공약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기성 정치를 비판하며 개혁신당을 창당한 그는 세대교체의 상징적인 인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권영국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는 '차별 없는 대한민국'을 슬로건으로 내세우며, 증세를 통한 사회 불평등 해소를 약속하고 있습니다. 인권변호사 출신으로, 주요 노동·시민사회 사건 현장에서 활동해온 이력이 있습니다.

구주와 (자유통일당)

구주와 후보는 '반국가 세력 척결'을 주요 슬로건으로 내걸고, 국가 안보 강화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습니다. 변호사 출신으로, 보수 성향 법률대리인으로 활동해왔습니다.

황교안 (무소속)

황교안 후보는 '부정선거 척결'을 핵심 슬로건으로 내세우며, 선거의 무결성 확보와 공정한 선거 시스템 구축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검사 출신의 법조인이자 박근혜 정부 시절 법무부 장관과 국무총리, 대통령 권한대행을 역임한 보수 정치인입니다.

송진호 (무소속)

송진호 후보는 '동북아 디지털 금융허브' 비전을 제시하며, 가상자산 피해자 1560만 명 구제를 위한 법적·제도적 장치 마련을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사단법인 글로벌데이터자산공제회 이사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 유권자를 위한 꿀팁

  • 후보자 정보 확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각 후보자의 공약, 재산, 병역, 전과 기록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TV 토론 시청: 후보자들의 정책과 비전을 비교할 수 있는 TV 토론을 시청하여 판단에 도움이 되도록 하세요.
  • 사전투표 일정 확인: 사전투표는 5월 29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됩니다. 일정과 투표소를 미리 확인하여 참여하세요.

🔮 앞으로의 전망

대선이 17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후보자들의 유세와 정책 발표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유권자들은 각 후보의 공약과 비전을 면밀히 비교하여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할 시점입니다.

📚 참고 링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다음뉴스 대선 특집

YTN 대선 뉴스

KBS 대선 뉴스